영화 소공녀: 집을 포기하고 취향을 지킨다는 것—한국 청년의 생존을 ‘품위의 예산’으로 다시 계산하다
전고운 감독의 <소공녀>(2018)는 “집 없이도 산다”는 자극적 구호로 시작하지 않는다. 영화는 미세먼지와 월세, 비정규 노동과 끊임없는 비교 속에서, 주인공 ‘미소’가 집을 포기하고도 자신의 일상 품위를 지키기 위해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덜어내는지, 그 회계 과정을 집요하게 기록한다. 담배 한 갑과 위스키 한 잔, 그리고 사랑하는 남자친구와의 평범한 저녁. 이 사소한 취향들을 유지하기 위해 그는 전세·월세라는 안정의 지표를 내려놓는다. 이 선택은 반사회적 선언이 아니라 자기 존중의 최소치에 대한 합리적 배분이다. 영화는 ‘가난=비루’라는 상투적 등식을 거부하며, ‘취향=허영’이라는 편견을 불식시킨다. 미소의 표정과 동선, 공기의 온도와 소음, 도심의 틈과 계절의 먼지까지 촘촘히 수집해, 삶의 품위가 체면이 아니라 습관과 감각의 문제임을 증명한다. 흥행은 조용했지만, 이 작품은 한국 독립영화가 동시대 청년의 현실을 어떻게 우아하고 단단하게 서사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 결정적 좌표로 남는다. 서론: ‘집=존엄’이라는 상식에 대한 반문—주거 불안의 시대에 품위를 호흡으로 바꾸는 법 <소공녀>가 던지는 첫 질문은 단순하다. “집이 없으면 품위도 없나.” 주인공 미소는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일하며 낮은 임금과 불규칙한 스케줄, 오르는 월세와 미세먼지의 계절을 견딘다. 그는 어느 날 단순한 연산을 한다. 월세와 공과금, 교통비, 사회적 체면을 유지하기 위한 소소한 비용들, 그리고 자신에게 진짜 필요한 것—담배, 위스키, 음악, 남자친구의 체온—을 같은 표에 올려놓고 더하고 뺀다. 결과는 명쾌하다. ‘집’이 가장 크고도 가장 노잼인 비용이라는 사실. 미소는 이 비용을 제거한다. 친구들의 집과 지인의 빈방, 일시적 숙박과 작업실의 구석을 떠돌며 그는 ‘거주’를 지우는 대신 ‘체류’를 늘린다. 이 체류는 도피가 아니다. 오히려 자기 취향의 방어다. 사회는 ‘취향’을 종종 사치나 허영으로 분...